라오스의 모든 소수민족
라오스의 인구는 약 769만 명( 2023년 기준)으로 크지 않은 작은나라에 속합니다. 그러나 라오스는 50개 이상의 소수민족들이 살고 있으며, 각 부족은 고유한 문화, 언어, 생활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라오스는 매우 흥미로운 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국가입니다. 라오스의 부족과 언어 범주 중 49개 부족이 다음과 같이 4개의 언어 범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라오스는 다양한 소수민족이 공존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1995년 인구 조사에서 라오스 정부는 47개의 소수 민족에 속하는 149개의 소수 민족 그룹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라오스 국가 건설 전선에서는 49개 소수 민족에 160개의 그룹이 분포한다고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라오스의 소수민족 분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라오스 정부는 소수 민족을 라오족 계가 아닌 민족으로 사용하며, 원주민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160개의 소수 민족 그룹은 82개의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적 다양성은 라오스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현재 라오스 민족은 문화와 언어적 특성으로 크게 네 종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라오-타이 어군(62.4%), 몬-크메르 어군(23.7%), 몽-이우미엔 어군(9.7%), 중국-티베트 어군(2.9%)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제 각 언어 그룹별로 주요 소수민족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라오-타이 어군 (8개 민족)
이 그룹에는 Thaineua(타이느아), Xaek(쌕), Yang(양), Nhoaun(느완), Lue(르), Phouthay(푸타이), Tai(타이), Lao(라오) 등이 포함됩니다.
타이라오족(Tai Lao)은 라오스의 최대 민족으로 인구의 약 55%를 구성하고 있으며, 라오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주로 저지대와 강둑을 따라 논 농사를 짓습니다. 그들의 언어인 라오어는 라오스의 공용어입니다. 라오족은 불교를 믿고 그것을 영혼에 대한 강한 애니미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라오족 마을에는 교육, 숙박, 회의, 종교 의식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사원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12세 이상의 모든 남자는 사찰에서 일정 기간 동안 승려 생활을 해야 합니다. 라오족의 전통 가옥은 지상 2.5m에서 3m 높이로 목조주택을 짓고 사는것이 특징입니다.
2. 몬-크메르 어군 (33개 민족)
이 그룹에는 Khmou(크무), Prai(쁘라이), Xingmoun(싱문), Phong(퐁), Thaen(틴), Erdou(어두), Bid(빋), Lamed(라멛), Samtao(삼따오), Katang(까땅), Makong(마꽁), Tri(뜨리), Yrou(이루), Trieng(뜨리엥), TaOy(따오이), Yae(예), Brao(브라오), Katu(까뚜), Harak(하락), Oy(오이), Kriang(끄리엥), Cheng(쳉), Sadang(싸당), Xuay(쑤아이), Nhaheun(나흔), Lavy(라비), Pacoh(파코), Khmer(크메르), Toum(뚬), Ngouan(응우안), Moy(모이), Kree(끄리), Brou(브루) 등이 포함됩니다.
크무족은 이 그룹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족으로, 라오스 전체 인구의 약 11%를 차지합니다. 크무족은 전통적으로 산간 지역에 거주하며 화전 농업을 주로 해왔습니다.
3. 몽-이우미엔 어군 (2개 민족)
이 그룹에는 Hmong(몽)과 Iumien(이우미엔)이 포함됩니다.
몽족은 라오스 전체 인구의 약 9%를 차지하는 주요 소수민족입니다. 흐몽족(Hmong)은 전통적으로 초가 지붕이 있는 나무집에서 생활하며 정령과 조상 숭배를 하며 화전을 일구며 살고 있습니다. 몽족은 새해를 12월에 맞이하며 큰 축제를 벌입니다. 이는 라오스의 공식적인 새해인 4월 '삐마이'와는 다른 시기입니다.
4. 중국-티베트 어군 (7개 민족)
이 그룹에는 Akha(아카), Phounoy(푸노이), Lahou(라후), Syla(씰라), Hayi(하이), Lolo(로로), Hor(허)가 포함됩니다.
아카족은 이 그룹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라오스 전체 인구의 약 1.8%를 차지합니다. 아카족은 전통적으로 산간 지역에 거주하며 독특한 의복과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오스의 소수민족들은 각자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화의 흐름 속에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50개 소수민족은 옷감, 장신구, 조각 등 다양한 전통 예술과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감상하는 것도 라오스 여행의 큰 즐거움입니다.
흥미로운건 라오스는 적은 인구인데 다양한 민족, 그리고 언어가 다르다 보니,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서도 서로 다른 민족의 사람들이 어울려 잘 살고 있음에도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들만의 언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현지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에 하나가 "카오짜이 버?"(한국어로는 "이해했어?")입니다. 되물어 봄으로써, 의사전달이 확실히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라오스 정부는 소수민족의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국가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로 라오스의 소수민족들이 평가받거나 차별받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제단체에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라오스의 다양한 민족 만큼이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을 존중하는 만큼 우리도 존중받는다는 것, 그리고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라오스의 소수민족들은 각자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된 라오스의 정체성도 공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라오스인들은 주로 놉(nop)이라는 불교식 전통 인사법을 사용합니다. 가장 보편적으로는 합장한 손을 가슴 높이에 두고 "사바이디(Sa Bai Dee)"라고 인사합니다. 이러한 공통된 문화적 요소들은 다양한 소수민족들을 하나의 국가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라오스의 소수민족들은 각자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유지하면서도 현대화와 글로벌화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의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라오스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동시에 이러한 다양성은 라오스를 독특하고 매력적인 여행지로 만드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죽기 전에 가봐야 할 여행지' 중 하나로 라오스가 선정된 것도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라오스의 50개 소수민족은 각자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존재는 라오스를 문화적으로 풍요롭고 다양한 국가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은 라오스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본 블로그는 굿모닝아시아 웹사이트와 콘텐츠를 공유합니다. 굿모닝아시아에서 더 풍부한 콘텐츠들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