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뉴스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과 성폭력이 가장 심한나라 10개국

by 글로벌에디터 2025. 1. 30.
728x90
반응형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과 성폭력이 가장 심한나라 10개국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이지만, 특정 국가에서 더욱 만연한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여성 가정폭력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10개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가정폭력

1. 인도

인도는 여성에 대한 폭력, 특히 가정폭력이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인도에서는 종교적, 문화적 요인과 더불어 법적 제도의 미비로 인해 여성 인권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인도 정부의 조사에 따르면, 결혼한 여성의 약 30%가 가정폭력을 경험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가족의 명예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여성을 살해하는 관습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강간 피해자를 위한 법적 제도가 설립되었지만, 재정 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정폭력에 시위하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

2.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은 여성의 권리가 매우 제한적인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1년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 여성의 권리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여성의 교육 기회와 취업이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어, 경제적 독립이 어렵습니다. 조혼과 강제 결혼이 여전히 만연해 있어, 많은 여성들이 어린 나이에 폭력적인 가정 환경에 노출됩니다.

 

파키스탄 일부다처제

3.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문화적, 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심각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여성의 얼굴에 산성을 뿌리는 폭력 행위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인도와 마찬가지로 명예 살인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처벌이 미약하며, 신고율도 낮습니다.

 

성폭력을 당한 콩고여성

4. 콩고민주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은 오랜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만연해 있습니다.

내전 중 성폭력이 전쟁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가정 내 폭력으로도 이어졌습니다. 법 집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해자들이 처벌을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콩고에서는 매년 3,500건의 성폭력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소말리아 소녀

5. 소말리아

소말리아는 내전과 극단주의 단체의 영향으로 여성의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는 국가입니다.

여성 할례가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어, 많은 여성들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관습으로 인해 많은 소녀들이 가정폭력에 노출됩니다.

 

히잡을 쓴 여성

6.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여성의 권리가 일부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가부장적 문화가 강하게 남아있습니다.

여성이 남성 후견인의 허락 없이는 많은 일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최근 운전이 허용되었지만, 여전히 여성의 이동에 제한이 많습니다.

 

시리아 소녀

7.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사회 붕괴로 여성들이 극심한 폭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내전 중 여성들이 성폭력, 납치 등 다양한 형태의 폭력에 노출되었습니다. 난민 캠프에서도 여성들은 지속적인 폭력의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12세소녀가 70세 노인에게 판매되기도 합니다.

 

시위중인 이라크 여성들

8. 이라크

이라크는 오랜 전쟁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여성의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습니다.

IS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여성들이 성노예로 착취당했습니다.여전히 명예 살인이 발생하고 있으며, 법적 처벌이 미약합니다.

 

나이지리아 여성

9.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는 종교적 극단주의와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만연해 있습니다.

극단주의 단체 보코하람에 의한 여성 납치와 성폭력이 심각한 문제입니다.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조혼이 여전히 행해지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여성들은 성폭행을 당해도 이를 증명하지 못하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인도네시아 소녀

10.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이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16년 인도네시아 정부 조사에 따르면, 15세~64세 여성들의 33%가 가정폭력의 피해자였다고 조사되었습니다. 가부장적 문화와 종교적 해석으로 인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이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법적, 제도적 개선과 함께 교육과 인식 개선을 통한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그리고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실행이 여성의 인권 향상과 가정폭력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굿모닝아시아에서 만나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