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 묘족(먀오족)의 독특한 결혼 풍습
묘족(먀오족)의 결혼 방식은 주로 세 가지로 나뉩니다.
자유연애, 중매결혼, 그리고 약탈혼입니다.
자유연애는 남녀가 서로를 알아가며 사랑을 키워 자발적으로 부부의 연을 맺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매결혼은 부모나 어른들이 남녀의 결혼을 주선하며, 당사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결혼을 시키는 방식입니다. 약탈혼은 남성이 여성의 동의 없이 강제로 데려가 일정한 절차를 거친 후 합법적인 부부가 되는 형식입니다.
이 세 가지 결혼 방식은 묘족이 거주하는 지역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유행 정도와 방식이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유연애는 묘족 청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며, 중매결혼은 가장 오래된 전통적인 방식이자 가장 널리 퍼진 결혼 형태입니다. 한편, 약탈혼은 묘족 특유의 독특한 풍습으로, 극적인 요소가 강한 결혼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혼식 절차
묘족의 결혼식은 약혼, 신부 맞이, 결혼식 연회의 세 단계로 진행됩니다.
1. 혼담 청하기 약혼
묘족의 청년 남녀가 서로 사랑을 나누고 결혼을 결심하면, 부모님이 길일을 골라 결혼 날짜를 정합니다. 결혼 전, 신랑 측에서는 중매인을 통해 신부 집에 방문하여 혼담을 청하고, 예물의 규모를 협의합니다. 약혼식에서는 신랑 측이 술과 고기를 준비하여 신부 측 친척들에게 대접하며, 이 자리에서 두 집안이 정식으로 약혼했음을 공개적으로 알립니다.
2. 신부 맞이
신부를 맞이하는 날, 신랑 측에서는 크고 두툼한 찰떡을 신부 집으로 보냅니다. 이 찰떡은 약 12~15kg 정도의 찹쌀가루로 만들어지며, 이는 가정이 원만하고 풍족하길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해진 날이 되면, 신랑 측은 친척과 친구들, 그리고 선물을 준비하여 신부의 집으로 갑니다.
신랑 측이 신부가 있는 마을에 도착하면, 마을 여성들이 대나무 장대를 이용해 길을 가로막습니다. 이때 신랑 측은 마을 여성들과 번갈아 가며 즉흥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노래 대결’을 펼쳐야 하며, 노래 한 곡이 끝날 때마다 신랑 측은 선물을 건넵니다. 여성들이 선물을 받으면 길을 열어주는데, 이 과정은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는 길을 쉽사리 허락받지 못하도록 하는 전통적인 풍습이며, 결혼식에 흥미와 활력을 더하는 요소입니다.
신부집에 도착한 신랑은 신부 집에서 다양한 시험과 난관을 통과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수수께끼 맞히기, 노래 부르기, 술 마시기, 춤추기 등이 있습니다. 이는 신랑의 능력과 용기를 시험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또한, 신부의 가족은 신부를 쉽게 보내지 않기 위해 시간을 지연시키며 딸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표현합니다.
3. 신부빼앗기
결혼식 당일, 신부는 친구들과 친척들의 호위를 받으며 결혼식장으로 향합니다. 이때 신랑 측 친구들이 신부를 ‘빼앗아 가는’ 흥미로운 전통이 있습니다. 신부의 친구들과 친척들은 신부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이는 신부의 행복과 이익을 지켜주기 위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부 빼앗기’ 풍습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단순한 상징적 절차로 진행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보다 실감 나게 연출되기도 합니다.
4. 결혼식 연회
신랑이 신부를 집으로 데려온 후, 성대한 결혼 잔치를 엽니다. 이 자리에는 가족과 친척, 마을 사람들이 초대되며, 경제적 여건과 지역의 풍습에 따라 연회의 규모와 음식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닭, 오리, 돼지, 소, 양 등의 고기와 함께 쌀로 만든 술, 찰밥, 찰떡 등이 준비되며, 이는 풍요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결혼 연회에서는 신랑과 신부가 하객들에게 술을 올리고, 축복을 받으며, 노래와 춤 등 다양한 공연이 펼쳐져 축제 분위기를 더욱 돋웁니다.
이 과정에서 신부 측에서 온 친구들이 커다란 대나무 바구니를 이용해 신랑을 가두는 장난스러운 풍습이 있는데, 이는 결혼식 분위기를 더욱 유쾌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결혼 후 풍습
묘족의 결혼 후 풍습은 크게 친정 방문과 신부의 본격적인 시집살이로 나뉩니다.
1. 친정 방문
신부는 결혼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친정으로 돌아가 가족들과 재회합니다. 친정 방문의 시기와 횟수는 지역과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결혼 후 3일, 10일, 반달, 한 달, 3개월, 반년, 1년등 다양한 기준이 존재합니다.
신부는 친정을 방문할 때, 시댁에서 준비한 술, 담배, 설탕, 차, 돈 등의 선물을 가져가며, 이는 부모님에 대한 효도와 감사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신부가 친정을 방문할 때에는 시댁에서 사람을 보내 함께 동행하며, 이는 신부에 대한 존중과 관심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2. 신부의 본격적인 시집살이
친정 방문을 마친 신부는 다시 시댁으로 돌아가 남편과 함께 생활을 시작합니다. 이때 신부는 닭, 오리, 계란, 쌀, 밀가루, 기름 등의 선물을 가져가며, 이는 시댁 어른들에 대한 예의와 존경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습니다.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갈 때는 친정에서도 가족을 보내 배웅하며, 이는 신부의 행복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친정 방문과 신부의 본격적인 시집살이는 묘족의 중요한 결혼 풍습 중 하나로, 친족 간의 유대감과 가정의 화합을 중요하게 여기는 묘족의 전통을 잘 보여줍니다.
'글로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오스 몽족 여자들의 성격과 특징 그리고 국제결혼 (1) | 2025.02.01 |
---|---|
싱가포르가 잘 살 수밖에 없는 이유! (3) | 2025.01.31 |
중국 소수민족 더앙족의 독특한 결혼 풍습 (1) | 2025.01.30 |
라오스의 모든 소수민족 (2) | 2025.01.29 |
라오스 여성과 국제결혼시 준비과정과 비용 (0) | 2025.01.27 |